‘무쌍’이란, ‘서로 견줄만한 것이 없을 정도로 뛰어나거나 심하다.’ 라는 뜻을 지닌 말이다. 필자는 지금부터 그 무쌍이라는 단어에 가장 잘 어울릴법한 사람 한 명을 소개하고자 한다. 그의 이름은 바로 척 준경. 우리 민족 역사상 최고의 무사를 꼽으라면 나는 주저 없이 이 사람을 선택할 것이다. 수만의 병력으로도 뚫지 못하던 적의 요새를 단신으로 쳐들어가 함락시키고, 수천의 병력이 겹겹이 에워싸고 있는 적진을 검 한 자루만 들고 홀로 쳐들어가 수차례나 초토화시킨 인물. 고려 제일 검, 불패의 신화, 전쟁의 신. 가장 객관적인 고려역사서 ‘고려사’와 ‘고려사절요’를 판타지 소설로 만들어 버릴 만큼 상상을 초월하는 그에 관한 기록.하늘이 내린 무사 무쌍 척준경에 관한 이야기. 지금 바로 시작 합니다.
대 화산파 13대 제자. 천하삼대검수(天下三代劍手). 매화검존(梅花劍尊) 청명(靑明) 천하를 혼란에 빠뜨린 고금제일마 천마(天魔)의 목을 치고 십만대산의 정상에서 영면. 백 년의 시간을 뛰어넘어 아이의 몸으로 다시 살아나다. 그런데...... 뭐? 화산이 망해? 이게 뭔 개소리야!? 망했으면 살려야 하는 게 인지상정. "망해? 내가 있는데? 누구 맘대로!" 언제고 매화는 지기 마련. 하지만 시린 겨울이 지나고 봄이 오면 매화는 다시 만산에 흐드러지게 피어난다. "그런데 화산이 다시 살기 전에 내가 먼저 뒈지겠다! 망해도 적당히 망해야지, 이놈들아!" 쫄딱 망해버린 화산파를 살리기 위한 매화검존 청명의 고군분투가 시작된다.
송현우 신무협 퓨전장편소설 『종횡무진』 의식을 잃어가던 남자가 외운 주문.그의 눈앞에 전혀 다른 세상이 펼쳐졌다.어젯밤 읽었던 무협소설, 그 속으로 들어가게 된 것이다.게다가 주인공도 아닌, '조연’이라니!하지만 그는 그 소설을 읽은 독자, 미래는 그의 손 안에 있다.불행한 것은 그가 그 소설을 읽다 던져버렸다는 사실...소매치기 선주혁. 과연 그는 생각대로 잘 먹고 잘 살 수 있을 것인가?<카디날 랩소디>, <풍류무한>, <巨始記>, <다크 엘프> 등으로 수많은 독자들을 열광케 했던 작가 송현우. 그의 작품은 단순히 ‘재미있다’는 말로는 표현하기 어려운 그런 매력이 있다. 이 작품도 그렇다. 개성 넘치는 소재와 경쾌한 문장이 만나 탄생한 <종횡무진>은 작가의 대표작일 뿐만 아니라 가히 한국 퓨전 무협의 새로운 지평을 연 작품이라 칭할 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