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디어 은퇴다!”평생 은퇴만 바라보며 일해온 마족 루인.그리고 드디어 은퇴할 수 있다고 생각했건만.“자네 집이 용사 아카데미가 되어 버렸어.”……예?“즉, 자네의 전 재산이 거기에 묻혀 있다는 소리지.”“……….”평생 모은 돈이 적국 아카데미에 묻혔댄다.“젠장, 내 돈 가지러 간다.”욕을 머금고 아카데미에 잠입했다.전 재산을 찾기 위해서.그런데."내 사위가 되어 주게.”“황실의 부군, 아니 비선실세가 되어 주게.”"용사로서 말하지. 지휘관이 되어 줘."잠입 교수 일을 지나치게 잘해버렸다.“……돌겠네!”…퇴직은커녕 승진만 하고 있다.
“나만 좋아하는 거, 이제 그만하고 싶어.” 어린 날의 내가 말했다. 10년이나 짝사랑했으면 포기할 때도 되지 않았느냐고, 아프고 지친 얼굴로 너를 놔주겠노라 했다. 그동안 미안했다는 작별 인사에 너는 어땠나. “차동희. 까불지 좀 마.” 그럼 그렇지. 내가 하는 말은 네겐 그저 관심이나 끌어 보려는 수작이고 같잖은 협박일 뿐이지. 낡고 해진 마음은 희망을 내려놓은 지 오래였다. 아무리 애를 써도 진심으로 봐 주지 않는 네가 아니라, 이제는 나를 위해 살고 싶었다. “파혼은 내가 어른들한테 말씀드릴게.” 박연준의 눈빛이 확 달라진 건 그때였다. “…너 지금 나랑 장난해?” * * * 남자가 운다. 그러나 눈물보다 더 슬픈 현실은 저 사람이 누군지 모른다는 사실뿐이었다. “그쪽, 나랑 언제 만난 적 있어요?” 남자가 아득히 무너져 내렸다. 희망에서 절망으로, 원망에서 후회로.
* 해당 도서에는 삽화가 포함되어 있습니다.비앙카 드 블랑쉐포르. 자카리 드 아르노의 아내였지만 그의 사후, 사치와 배덕함, 그리고 음탕함을 명분으로 아르노가(家)에서 내쳐진 여자. 친가인 블랑쉐포르가(家)의 몰락으로 오갈 데 없이 방황한 끝에 초라한 변방의 수도원으로 쫓겨나다시피 한 여자. 그리고 그 끝에 결국 차가운 돌바닥 위에서 죽게 된 여자. 명예를 모르는 악녀.그것이 바로 비앙카의 회귀 전 생이었다.***“이게 현실이라고? 정말, 과거로 돌아온 거란 말이야?”꿈도, 환각도 아니다. 이 배고픔은, 피로는, 생생함은….이 모든 것은 현실이었다.정말, 정말 그렇다면. 신이 나에게 다시 한 번의 값진 기회를 주신 거라면…!‘나는 장사를 하는 거야. 결혼도 결국 장사니까. 자카리의 아이는 좋은 장사 밑천이 되어 줄 거야. 내 지참금도 지켜 주겠지. 블랑쉐포르 영지도, 아르노 영지도 그 빌어먹을 자작에게 빼앗기지 않게 될 거야.’그러려면 그녀의 남편, 자카리의 아이를 낳아야 한다.“우리의 결혼은 얼마짜리 결혼이었죠?”“송아지 400마리, 돼지 900마리, 은그릇 100개, 비단 300필, 보석 두 궤짝, 그리고 영지 일부분…. 아르노가의 이 년 치 예산 만큼이었지.”“그 값은 해야 하지 않겠어요?”그를 유혹해서든, 설득해서든.[본 작품은 15세이용가로 재편집된 작품입니다.]
* 키워드 : 현대물, 재회물, 오래된연인, 첫사랑, 친구>연인, 소유욕/독점욕/질투, 뇌섹남, 재벌남, 직진남, 다정남, 후회남, 상처남, 짝사랑남, 순정남, 능력녀, 직진녀, 다정녀, 후회녀, 상처녀, 순정녀, 외유내강, 털털녀, 쾌활발랄녀, 오해, 달달물, 애잔물, 이야기중심재미없고 시시하던 차도휘의 세상이 한 사람으로 인해 바뀌었다.처음 만난 순간부터 예쁘고 웃기고 완벽해서사랑할 수밖에 없었던 여자, 윤지우.지우는 도휘의 무한한 지지 속에서타고난 재능과 노력으로 세계적인 발레리나가 되어 가고.아름다운 그녀의 모습을 지켜보며도휘 역시 작가로 승승장구하지만.[사람 살……려…….][혹시 알고 있어요? 당신 왼쪽 발목, 곧…….]완벽하게 이어질 것 같았던 두 사람의 사랑은한순간의 객기로 곤두박질치고 마는데…….
지방 공무원 시험에 합격한 그녀, 요절하고 눈 떠보니 남자로 환생했다.정작 여자였던 전생에서는 남자이길 바랐지만, 막상 바라는 대로 이루어지니 난감하기만 한데…….가난한 집안에 기댈 수도 없고 병약한 몸이라 농사일을 할 수도 없는 그, 고청운의 살길은 과거 시험에 합격하는 것뿐이다.그런데 과거 시험에만 합격하면 잘살 줄 알았는데 돈이 없네? 그럼 부업을 해야지!전생의 기억을 바탕으로 과거 시험을 보고 돈을 벌고 여자와 혼인을 하기까지.과연 고청운의 농가 생활은 어떻게 흘러갈 것인가?원제: 農家子的古代科举生活(농가자적고대과거생활)작가: 曲流水(곡류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