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밌는 소설임을 부정할 수는 없지만, 개인적으로 초반에는 내공은 딸리지만 무협지에서 착안한 무공들로 올힘캐들과 대립하는 형태를 상상했는데, 중후반쯤 갑자기 그냥 내공이 쑥 늘어나서 힘과 기술 모두 상대보다 우월하게 됨. 그래서 갑자기 긴장감이 삭제됨. 엔딩부분은 날림이라고밖에 생각이 안듦. 그래서 외전은 보지 않았음
이 소설은 말 그대로 정통 무협 + 정통 서부극이다. 솔직히 말하자. 나는 40대 아재다. 이 소설의 감성을 가슴으로 이해할 수 있는 나이대는 최소 40대 이상이리라. 그냥 단순히 나이가 들어야 이해할 수 있다는 말이 아니다. 무협소설 트랜드의 변화에 대한 이야기 이다.
이제 틀딱적인 이야기를 좀 해야한다. 왜냐하면 나는 아재니까. 한국의 무협소설은 김용의 소설에서 시작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사조영웅전 부터 천룡팔부, 소오강호 등. 여기서 부터 한국의 무협소설이 자생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이 때의 소설들이 정통무협이라고 말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때의 소설 주인공들은 정통 서부극과 많은 공통점을 가졌다. 과묵한--지금은 쿨하다고 표현하리라-- 주인공, 대가를 바라지 않는 선행, 각지에서 꼬이는 여자들.... 그 때는 그런 마쵸적인 감성이 있었다.
이 소설은 이 감성에 대한 헌사이다. 강대한 힘에 맞서 부드러움(유)과 태극에서 비롯된 무당태극권이 펼쳐진다? 개방의 항룡십팔장? (정통무협) 적은 보수로 의뢰를 받고, 결투에서 적을 쓰러트리고 말없이 말을 타고 사라지는 주인공? (정통 서부극) 이 것을 머릿속에 떠올렸을 때 당신이 팬티를 갈아입는다면....
조가 LV.32 작성리뷰 (91)
이동건 LV.5 작성리뷰 (2)
최사영 LV.10 작성리뷰 (4)
dn LV.11 작성리뷰 (11)
마지막에 힘빠지는게 보였으나 완결을 냈다는 것을 높이 평가한다.
그래 비뢰도 쓴 그 새기 욕하는 거 맞다.
중서무 LV.59 작성리뷰 (339)
캐릭터 유치하지 않고 찌질하지 않으면서 선이 있는, 다들 따라는 하는데 쉽게 그려내기 어려운 걸 해냄.
세피아 LV.29 작성리뷰 (78)
중원무림이 미개척 시절의
미국땅을 식민지로 삼은 배경설정에
주인공은 그곳의 현상금 사냥꾼이다.
중반까진 꽤 감탄하면서 봤다.
소재도 신선하고 작가의 필력도 좋다.
하지만 후반부 세력간 전쟁구도로 접어들면서
급격하게 재미가 떨어진다.
상마초 LV.8 작성리뷰 (7)
masion LV.14 작성리뷰 (17)
준교수 LV.21 작성리뷰 (42)
한편의 느와르 장르 같기도 하고
초성 LV.16 작성리뷰 (26)
우가우가 LV.12 작성리뷰 (13)
무협과 이 소재를 접목시키니 재미가 1+1= 3 이된 느낌
현대무협과 고전무협의 사이 경계에 있는 느낌을 주면서 모두가 재밌게 읽을 수 있을 것 같다
누렁이감별사 LV.26 작성리뷰 (57)
틀딱, 아재라고 불리던 무협독자들에 대한 헌사
낭만 그 자체라고 할 수 있는 소설
뭘 하고있나 LV.24 작성리뷰 (43)
looooos LV.34 작성리뷰 (93)
- 소재의 참신함과 함께 전반적인 깔끔한 맛이 좋다.
- 퓨전 먼치킨 무협들을 제외한다면, 21세기 반로환동전과 함께 한손에 꼽을만한 작품.
포테토뭉 LV.9 작성리뷰 (6)
다만 뒤로 갈수록 주인공의 능력만으로 헤쳐나가는게 지루하게 느껴짐,
최종장에서는 더더욱..
닝13619 LV.24 작성리뷰 (56)
하지만 무협뽕 터지기 직전의 서부극 이야기는 다소 지루했다. 완결도 아쉬웠다.
김채원 LV.26 작성리뷰 (49)
H D LV.19 작성리뷰 (30)
L HJ LV.24 작성리뷰 (55)
김갑 LV.21 작성리뷰 (43)
현대의 장르 팬들을 모두 만족하게 하는 수작
근 5년동안 21세기반로환동전과 더불어 최고의 작품
manul**** LV.23 작성리뷰 (51)
사료중독걸뱅이 LV.18 작성리뷰 (32)
조대 LV.28 작성리뷰 (75)
moral404 LV.27 작성리뷰 (72)
솔직히 말하자. 나는 40대 아재다. 이 소설의 감성을 가슴으로 이해할 수 있는 나이대는 최소 40대 이상이리라.
그냥 단순히 나이가 들어야 이해할 수 있다는 말이 아니다. 무협소설 트랜드의 변화에 대한 이야기 이다.
이제 틀딱적인 이야기를 좀 해야한다. 왜냐하면 나는 아재니까.
한국의 무협소설은 김용의 소설에서 시작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사조영웅전 부터 천룡팔부, 소오강호 등.
여기서 부터 한국의 무협소설이 자생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이 때의 소설들이 정통무협이라고 말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때의 소설 주인공들은 정통 서부극과 많은 공통점을 가졌다.
과묵한--지금은 쿨하다고 표현하리라-- 주인공, 대가를 바라지 않는 선행, 각지에서 꼬이는 여자들....
그 때는 그런 마쵸적인 감성이 있었다.
이 소설은 이 감성에 대한 헌사이다.
강대한 힘에 맞서 부드러움(유)과 태극에서 비롯된 무당태극권이 펼쳐진다? 개방의 항룡십팔장? (정통무협)
적은 보수로 의뢰를 받고, 결투에서 적을 쓰러트리고 말없이 말을 타고 사라지는 주인공? (정통 서부극)
이 것을 머릿속에 떠올렸을 때 당신이 팬티를 갈아입는다면....
당신은 이 소설을 봐야한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