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물을 마시는 새

눈물을 마시는 새 완결

<눈물을 마시는 새 세트> 지배자에 대한 진지한 이해와 접근을 시도한 새로운 형태의 환상 소설
2차 세계 대전 중에 절대 악과 그 악에 맞서서 권력을 좌지우지해야 했던 권력자들의 갈등을 소설로 담아낸 J.R.R. 톨킨의 『반지의 제왕』이 반세기가 지나도록 많은 독자에게 읽혀진 이유는 권력의 상징인 ‘왕’과 그 주변 권력의 내부를 샅샅이 파헤칠 수 있는 봉건 시대를 바탕으로 씌어진 소설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판타지 소설만이 가진 이 독특한 특성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새로운 조건을 요구하게 되었다. 냉전 체제가 무너지고 권력의 질서가 재편되고 있는 현실에서 이를 다룰 새로운 화두가 절실히 필요했던 것이다. 『눈물을 마시는 새』는 그러한 화두에 대한 도전작이라고 볼 수 있다. 작품 전체를 아우르는 단어인 ‘왕’이라는 단어가 이를 대변하고 있다.『눈물을 마시는 새』에는 ‘왕’에 대한 일방적인 숙원(자신이 왕이 되고자 하거나 혹은 왕의 추종자가 되고자 하는 욕망)을 가진 등장인물들이 등장하여 사건을 전혀 다른 방향으로 전개시키거나, 왕에 대해 끊임없이 논의하고 추리함으로써 ‘지배자 계급이란 무엇인가?’라고 독자에게 묻고 있다. 그러면서도 작가는 작품의 제목에서 자신만의 해답을 풀어낸다. 제목인 ‘눈물을 마시는 새’라는 뜻은 작품 속에서 ‘백성들이 흘려야 할 눈물을 대신 마시는 왕’을 뜻한다. 이 뜻은 군왕의 조건은 많은 병력이나 부, 혹은 재능이 아니라 백성들이 슬픔이나 죄책감 등 수많은 고통을 대신 짊어져야 한다는 뜻을 담고 있으며, 왕이 대신 마셔주는 눈물 덕에 백성들은 잔인해질 수 있고, 얼마든지 남을 핍박하고 전쟁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이다. 게다가 ‘눈물’은 인간이 해롭기에 몸 밖으로 뱉어내는 것이고, 이를 마신 왕은 오래 살 수도 없다. 작가는 제목과 작품 전체를 관통하는 단어인 권력자 ‘왕’에 대해 막연한 환상만을 갖고 있는 인간에게 ‘왕-지배자’라는 것이 갖는 무거움과 본연의 뜻, 그리고 그러한 인간의 상징물로 내세워진 ‘왕’으로 인해 일어날 수 있는 공포를 환상 소설의 특성을 최대한 살려 전한다.

이영도 식의 독특한 설정과 이야기 진행
『눈물을 마시는 새』에서도 이전의 작품처럼 이영도 식의 독특하고 신비스러운 이야기가 독자의 눈을 사로잡는다. 특히 넷으로 구분된 색다른 종족들은 작품의 스토리와 부합되어 사건의 요소요소에서 새로운 반전을 일으키게 한다. 이중 가장 눈에 띄는 종족은 역시 현대의 인간과 흡사한 인간족이다. 왕이 되고자 하는 제왕병자들이 가득하고, 저마다 자신의 세력을 키우지만 정작 네 종족 중 가장 나약한 종족이라는 점은 모순으로 가득 찬 인간의 단면을 보여준다. 다른 종족도 이와 비슷한 모순적인 특성을 갖고 있다. 닭의 모습을 닮은 레콘 족은 3미터에 이르는 큰 키와 강인한 체력, 그리고 신의 선물인 무기를 갖고 있기에 네 종족 중 개인의 무력으로는 가장 강력하다고 볼 수 있지만 철저히 자신의 숙원만을 이루려는 개인주의 때문에 종족이 단합할 수 없고 언제나 홀로 싸우는 약점을 갖고 있다. 불을 자유자재로 다루는 도깨비는 마음만 먹으면 일거에 수십만을 죽일 수도 있지만, 근본적으로 폭력과 피를 두려워하는 까닭에 세상에 아무런 영향도 주지 못한다. 뱀처럼 비늘이 있고 변온 체질인 나가는 인간의 ‘말’이 아닌 정신적 교감인 ‘니름’을 통해 의사를 주고받으며 심장을 적출함으로써 반(半 )불사의 몸이 되었지만, 변온 체질이어서 북부 지방의 저온을 이겨내지 못하는 체질적 한계를 갖고 있다. 작품 전체의 종족들 중 그 어떠한 종족도 완벽하지 못한 상태를 유지한다.

작품 속에 사용되는 속담이나 격언 등도 종족적 특성을 최대한 활용하여 독자의 흥미를 돋운다. 물을 두려워하는 특성을 가진 레콘의 경우 ‘붕어 저택에 빠져 죽을’, ‘녹은 얼음을 뒤집어 쓸’과 같은 욕설이 나오기도 하며, 말 대신 니름이라는 정신적 언어를 사용하는 나가들은 ‘니름도 안 된다(말도 안 된다)’, ‘니름 잘라먹지 마라(말 잘라먹지 마라)’ 같은 변종 언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종족을 초월하여 등장하는 ‘군령자’나 ‘유료 도로당’ 또한 독특한 이영도 식의 소설에서만 맛볼 수 있는 것들이다. 군령자는 한 육체에 오랜 시간 동안 여러 명의 영혼이 깃든 것으로 영화 『존 말코비치 되기』에서 이와 비슷한 육체를 목격할 수 있다. 영생하고자 하는 생명체의 욕구로 인해 탄생한 이 군령자는 항시 ‘더 이상 전령하지 않고 죽겠다.’고 주장하지만 결국 죽을 때에 이르러서는 영생을 위해 남에게 전령하는 나약한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유료 도로당’이라는 단체는 작품 속에서 길을 정비하는 대신 통행세를 받는 이들로서, 돈을 지불하고 도로를 이용하는 여행객은 고객이며, 무임으로 이용하는 여행객은 무조건 적으로 규정하는 독특한 단체이다. 하지만 그 철저한 규정으로 인해 인간 전체의 적조차도 돈을 지불하기만 하면 고객으로 규정하는 모순에 빠지기도 한다.

더보기

컬렉션

평균 4.62 (1350명)

나으리
나으리 LV.27 작성리뷰 (60)
긴호흡이 필요한 작품.
중간중간 1~2시간씩 짬내서 읽는사람에게는 절대 권할수 없는 소설
쉬지않고 휴일동안 쭈욱 읽어야 재밌는 소설이다.
하나하나의 이야기가 길고 하나하나의 장면을 풀어 상상력을 자극하는 소설이기때문에
짧은 호흡으로 여러번 보면 점점 손을 놓게 되는 소설이다.
바쁜 현대시대 직장인들에게는 재밌게 읽혀지기 힘든 단점외에는 장점밖에 없다.
다 읽고나면 과수원에 불나기를 기원하게 된다.
2021년 4월 14일 8:23 오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제이드
제이드 LV.33 작성리뷰 (86)
1부와 2부의 분위기가 극단적으로 달라졌던 것이 기억났다.
내가 한 권을 빼먹고 다른 걸 보고있나 했지만 아니었다.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케이건의 여행을 따라가다보면 어느 순간 소설에
푹 빠진 자신을 볼 수 있다.

개인적으로 2부의 전쟁 묘사가 화끈해서 좋았다.
2021년 4월 20일 1:35 오전 공감 0 비공감 1 신고 0
이정우33192
이정우33192 LV.24 작성리뷰 (52)
한국 판소중 최고의 작품 중 하나 1부를 너무 재밌게 휴유증 있게 봐서 1부 주연들이 2부에서 안나온다는 말에 실망해서 2부를 못 보게 만들어버렸다;
2021년 4월 26일 12:42 오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나르디
나르디 LV.18 작성리뷰 (26)
판타지를 논한다면 한번 쯤 읽어야 할 기념비적인 작품
2021년 4월 30일 4:44 오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견습기사
견습기사 LV.13 작성리뷰 (17)
한국 판타지의 전설
2021년 5월 13일 3:23 오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Der Neugierige
Der Neugierige LV.17 작성리뷰 (30)
이영도 소설인데 극후반부가 이해가 되는 전개면 명작일 수밖에 없다
2021년 7월 20일 9:49 오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붕붕포도알
붕붕포도알 LV.29 작성리뷰 (82)
빵도 작품을 별로 좋아하지는 않지만 눈마새만큼은 인정하지 않을 수 없음
2021년 7월 21일 10:01 오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구르미고운매
구르미고운매 LV.9 작성리뷰 (8)
철학적이지만 가볍고 아름다운 문체 최고입니다.
2021년 8월 9일 2:05 오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알슨
알슨 LV.20 작성리뷰 (32)
무슨 말이 필요할까
한국에서 이걸 넘을 작품이 나올 수 있을까?
한국장르소설계 세 거장이 이영도, 전민희, 이우혁이지만
이 소설을 쓸 때의 이영도 작가는 본인마저 포함해 다른 두 작가보다 위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세계관, 설정, 내용 전개, 인물 대화, 복선
뭐하나 흠잡기 어려운 마스터피스
2021년 8월 10일 12:47 오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하하낙낙
하하낙낙 LV.63 작성리뷰 (381)
최고의 판타지 소설
2021년 8월 13일 8:08 오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돌돌
돌돌 LV.21 작성리뷰 (44)
명작 그자체 단순한 킬링타임용 소설은 전혀 아니다
2021년 9월 21일 6:52 오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베인
베인 LV.13 작성리뷰 (15)
이야기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세상을 창조하는 수준의 작가.
2021년 9월 28일 7:12 오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버터스
버터스 LV.6 작성리뷰 (3)
그냥 평작 판타지 세계를 창조한건좋은데, 작가자체가 치밀하지 못해서 레콘 강함같은게 들쑥날쑥함. 주인공만 천재고 나머진 저능아. 상황이 너무억지임
2021년 10월 25일 12:27 오후 공감 0 비공감 9 신고 0
YJ84388
YJ84388 LV.3 작성리뷰 (1)
한국 장르소설 역사상 최고의 걸작.
2022년 1월 10일 8:24 오후 공감 0 비공감 1 신고 0
박지수
박지수 LV.84 작성리뷰 (494)
내가 감히 리뷰를 할 수 없는 걸작.
2022년 1월 30일 5:50 오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P의
P의 LV.22 작성리뷰 (44)
말이 필요한가
2022년 3월 29일 12:34 오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글리세롤
글리세롤 LV.43 작성리뷰 (182)
재밌어요
2022년 4월 3일 7:33 오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DevilWeed
DevilWeed LV.33 작성리뷰 (110)
이건 진짜 걸작이다.... 언제 읽어도 계속되는 감탄이 나옴
2022년 4월 30일 10:21 오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생갈치
생갈치 LV.7 작성리뷰 (4)
취향이 아닌 사람도 명작임을 부정하진 못함
2022년 5월 11일 11:10 오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아무르타트
아무르타트 LV.52 작성리뷰 (207)
니체 사상에 대해 알고 보면 더 재밌는 이영도의 대작. 판타지의 혼이 담겨있다. 장르소설에서 주제의식과 재미를 동시에 잘 담아내기는 참 어렵다고 생각하는데, 바로 그 점을 아직 후대 작품들이 따라가지 못하고있다.
2022년 6월 8일 4:13 오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유치하게좀쓰지마라
유치하게좀쓰지마라 LV.22 작성리뷰 (42)
독자의 입맛에 맞추지 않은 순수한 핍진성.
오로지 작가만의 힘으로 써 내려간 세계관의 명확함이,
작품에 절대적이고 영구적인 오리지널리티를 부여했다.
2022년 6월 22일 1:23 오후 공감 0 비공감 1 신고 0
블러드9
블러드9 LV.10 작성리뷰 (10)
마스터 피스. 무슨 설명이 필요한가?
2022년 7월 4일 7:28 오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강아지좋아해
강아지좋아해 LV.16 작성리뷰 (14)
신은 이영도인가? 이 작품을 리뷰하며 평가하는건 못 할것같다.
2022년 7월 13일 10:16 오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가나사바
가나사바 LV.23 작성리뷰 (47)
얘가 진짜 우리나라에 다시 없을 띵작이지.
어쭙잖은 틀딱들이 추억 보정 처맞은 것도 모르고 드래곤 라자 올려치기 하는데, 걔는 그 정도 아님.

얘가 진짜지.

드래곤 라자, 퓨처워커, 폴라리스 랩소디 등을 통해 성장한 이영도 최전성기의 소설이 이거다.
얘가 이영도 무공의 오의이자 끝임.

뭐 당연히 아쉬운 점도 있지. 이영도 특유의 후반부에 갑자기 이상한 소리하면서 개똥철학 드러내는 거. 얘도 분명 있긴한데, 근데 얘는 그게 좀 덜 함.

그리고 글의 장점이 그런 단점을 압도적으로 씹어먹는다.

얘는 무조건 한국 판타지 GOAT임. 요즘 보통 개나소나 GOAT거리지만 얘는 진짜 말 그대로 Greates Of All Time. 최상급 표현 그 자체임.

그 시대의 천하제일인이었고, 우리나라 웹소설 역사를 통틀어서 최강이었고, 앞으로도 얘를 뛰어넘을 소설이 나오기를 난 간절히 기대하지만 그럴 일은 없을 것 같다.

더보기

2022년 7월 24일 9:32 오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링크를 통해 구입 시,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수수료는 소셜넷의 지속 가능한 운영과 발전을 위해 사용됩니다.

링크를 통해 구입 시,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수수료는 소셜넷의 지속 가능한 운영과 발전을 위해 사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