템 빨

템 빨 완결

원치 않게 전설의 대장장이로 전직한 주인공의 이야기

컬렉션

평균 3.07 (792명)

추천
추천 LV.16 작성리뷰 (25)
달조보단 잼있을지도?
2020년 2월 26일 6:51 오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adonis07
adonis07 LV.24 작성리뷰 (47)
겜판 입문작으로 추천
처음은 약간 답답할 수도 있지만 후반에 재미있다
2020년 3월 2일 11:30 오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자바칩
자바칩 LV.17 작성리뷰 (28)
초반의 답답함과 찌질함을 버텨내면 볼만함
2020년 3월 4일 10:39 오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인생작없을까
인생작없을까 LV.16 작성리뷰 (25)
재밌는데 나중에는 너무 똑같은 레파토리 반복으로 보기 싫어지는 소설
2020년 3월 8일 8:59 오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군방
군방 LV.30 작성리뷰 (29)
성장뽕. 장편. 게임판타지. 입문작으로 가능. 초반은 기존 양판대비 고구마. 밑도끝도 없는 사이다를 싫어하는 사람 기준에선 오히려 장점. 당연히 양판계 소설이라 현실성, 개연성은 떨어짐.
2020년 4월 6일 10:45 오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코미양
코미양 LV.23 작성리뷰 (41)
개인적으론 졸작... 중도 하차작이긴한데
인과도 이상하고 개연성도 없고.. 도대체 왜 여주들은 아무런 계기도 없이 남주한테 빠지는지 얼척없음
달빛조각사랑 비교됨.
2020년 4월 10일 4:16 오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마라
마라 LV.16 작성리뷰 (24)
그다지 재미는 못느꼈음
2020년 4월 28일 4:58 오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루키123
루키123 LV.45 작성리뷰 (183)
그당시에는 재미있었지만 지금 읽으라고 한다면 안읽는다
2020년 5월 12일 3:01 오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거지
거지 LV.37 작성리뷰 (134)
처음에 참고 봤다가 오진다 하고 봤고
나중에 기사한테도 고백하는 거 보고 정떨어져서 몇권 더 보다가 접었음
2020년 5월 12일 7:56 오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kin
kin LV.5 작성리뷰 (2)
카카오페이지 연령대가 전체적으로 낮다고 생각하게 되는 이유중 하나고 솔직히 말해서 이게 왜 그렇게 인기 많은지 모르겠다
2020년 5월 15일 6:47 오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asd
asd LV.12 작성리뷰 (13)
초반만 넘기면 중후반에 주인공의 내적성장으로 카타르시스를 주지만 초반버티는게 극악
차라리 초반 리뷰보고 넘기는거 추천
2020년 5월 16일 7:31 오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리븐
리븐 LV.12 작성리뷰 (13)
재미는 있는데 가면 갈 수록 힘빠짐
2020년 5월 18일 2:33 오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로판사냥꾼
로판사냥꾼 LV.17 작성리뷰 (28)
마무리를 도대체 어떻게 할지 궁금하다. 대장장이 라는 캐릭터도 초중반에 나오다가 안나오고 반신 스코리 가면서 하차함
2020년 5월 18일 9:58 오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머루와다래
머루와다래 LV.12 작성리뷰 (14)
초반부 좀 답답하고 국가대항전 부분이 재미를 상당히 떨어트리긴 하지만 그래도 이만한 겜판 별로 없는듯해요
2020년 5월 21일 1:18 오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검덩이
검덩이 LV.16 작성리뷰 (23)
초반엔 볼만하다가 뒤로갈수록 패턴반복에 유치해서 하차
2020년 6월 1일 2:47 오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연구원
연구원 LV.38 작성리뷰 (140)
평범한 이야기였다.
2020년 6월 30일 4:24 오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tictoc
tictoc LV.33 작성리뷰 (57)
이거도 박수칠때 못떠난 소설....
2020년 7월 1일 11:21 오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rudckd****
rudckd**** LV.18 작성리뷰 (31)
초반에 주인공이 너무 발암이라 하차함
2020년 7월 11일 4:01 오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소설읽는 판다
소설읽는 판다 LV.9 작성리뷰 (8)
웹소설 입문일 경우: 상
판타지 웹소설 입문일 경우: 중~중상
단순히 카카페 일등이라는 이유로 시작하는 경우: 하~중하

카카페의 독자 대부분이 잼민이들이라는 사실을 알게 해 준 작품.
작가의 필력이 상승하는 것은 5권대 이후로 보이지만, 거기서 한두 단계 성장한 게 전부.

다른 양판소들에 비하더라도 이 작품의 비판점은 차고 넘친다.


1. 겜판을 오래끌면 안된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소설.
밥만 먹고 레벨업, 그 전설이던 달조. 모두 겜판을 질질 끌다 보니 갈수록 낮은 평을 보여주고 있다.
과연 템빨은 어떨까?
20권까지는 쌓여왔던 고구마가 있었어서 그런지, 각종 사이다로 빵빵 터뜨려준다.
그 이후에는 전개반복, 존재하지 않는 작가의 필력 상승 등으로
단순히 등급만을 높여대고, 플레이어가 상대가 되지 않자 NPC, 신 등 스케일만 키워가고
기존의 매력있던 등장인물들은 거의 사용하지 않는 등
이 사실은 대부분의 웹소설에 해당되기는 한다. 길게 끌수록 용두사미 엔딩이다.
그리고 겜판은 그 특성이 더 부각된다.
작가가 돈맛을 봤는지 절대 끝내지 않는다.


2. 너무 심한 중2병 대사
일부이긴 하지만, 또 취향이긴 하지만..
민트초코가 취향이라고 하루종일 민트초코만 먹어대는 놈들이 있을까.
한 지혜롭고 명민한 10대 캐릭터를 어느 순간부터 중2병에 빠진 꼬맹이로 만들어놓고,
그걸로도 모자라서 잼민이들의 중2병에 대한 웃음이 와닿기라도 했는지
하다하다 중2병 대사만 골라서 치는 종족까지 만들어서 이를 서포트한다.
적당히 하면 취향이 아니더라도 피식 웃어넘길 수 있는 요소를
선을 넘는 정도로 계속하는 것을 보여준다.

3. 반복 전개
1번과 연계된 사항이기는 하나, 약간 다르다.
이 웹소설의 메인 컨텐츠인 '국가대항전'. 국가별로 플레이어들이 규합하여 올림픽과 같이 여러 경기르 통해 승자를 뽑는 컨텐츠이다.
이 대회에서는, 주인공이 계속해서 좋은 성적을 냈음에도 불구, 계속해서 주인공에 대한 불신을 보여주며
계속해서 관련 인터넷 기사 댓글 토론창으로 분량을 10페이지 가까이 잡아먹은 후, 당연히 예정되어 있었던 주인공의 하드캐리로 다시 주인공을 신뢰하게 만든다.
이것이 한두번만 반복되면 몰라도, 1차부터 4차까지 한결같은 반응을 보여주는 대중은
게임 NPC보다도 못한 지능을 보여주는 것 같다.

더보기

2020년 7월 18일 11:41 오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I'm the king of the world
I'm the king of the world LV.12 작성리뷰 (14)
초반부 진입장벽이 너무 높다. 뒤로 가면 읽을만 하지만 그렇다고 돈을 써가면서 그 높은 벽을 넘어가면서 읽는 다는 건 사실상 다른 명작들이 많은 상황에서 비추다.
그냥저냥한 겜판임.
2020년 7월 25일 5:54 오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또곰
또곰 LV.18 작성리뷰 (34)
회차가 갈수록 틀을 벗어나는 망작
2020년 7월 30일 2:40 오후 공감 0 비공감 1 신고 1
마탱이
마탱이 LV.3 작성리뷰 (1)
소문많이 났다던 그 소설이네요 한번 읽어 봐야겠네요

참 소설은 제주커피 많다던데 거기로 많이 가보세요
2020년 8월 1일 11:16 오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1
판사
판사 LV.6 작성리뷰 (4)
귀찮아서 대충 쓰는 무성의함이 느껴짐.
2020년 8월 11일 9:27 오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Recreation
Recreation LV.23 작성리뷰 (45)
솔직히 초반부만 보면 하차 각 씨게 나오는 부분이 한두 군데가 아님.
그래도 초반부 참고 보면 무난한 성장물이고, 연재도 꾸준히 나와서 킬링타임 용으로 나쁘지 않음.
국뽕 요소도 조금 섞여 있고.
다만 이런 류의 소설 특성상 한 번 보고 다시 읽을 정도의 명작도 아니고, 작가도 깊게 생각하면서 쓰는 건 아닌지 설정 오류 때문에 독자들한테서 논란 터진 적도 상당히 많음.
초반부 빼고는 킬탐용으로 무난하지만 초반부 못 넘기겠다면 그냥 넘기자.
2020년 8월 20일 12:32 오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링크를 통해 구입 시,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수수료는 소셜넷의 지속 가능한 운영과 발전을 위해 사용됩니다.

링크를 통해 구입 시,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수수료는 소셜넷의 지속 가능한 운영과 발전을 위해 사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