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수를 구하시오

철수를 구하시오 완결

(서술형)철수는 지구에서 소행성 라마를 관찰하고 있다. 소행성 라마는 17.5km/s의 속도로 지구에 접근하고 있으며 가속 중에 있다. 이 때, 철수를 구하시오(4점)

컬렉션

평균 4.02 (631명)

뜨는달
뜨는달 LV.23 작성리뷰 (54)
SF를 좋아하는 나에게는 더할 나위 없이 좋은 소설
2024년 7월 22일 2:48 오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kakarot
kakarot LV.22 작성리뷰 (43)
리메이크 이전과 이후 모두 나름대로의 재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철수를 구하시오는 한국 웹소 장르에 처음으로 비교적 제대로 된 SF 장르를 리얼하게 개척한 개척자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개인적으로는 스페이스오페라물을 더 선호하지만 철수를 구하시오는 장르적 개척자라는 측면에서 더 많은 사람에게 알려지고 읽혀질 필요가 있다.
2024년 7월 23일 11:14 오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무협이좋아요
무협이좋아요 LV.29 작성리뷰 (76)
내 최애 장르는 루프물이다. 더불어 SF 향 첨가까지..
2024년 8월 17일 8:56 오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시헌
시헌 LV.14 작성리뷰 (19)
상상에 디테일을 더한 소설.
2024년 9월 14일 1:14 오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lll
lll LV.22 작성리뷰 (46)
작가의 용기와 열정에 박수와 감사를 보낸다. 리메이크는 신의 한수였다.
2024년 10월 18일 6:07 오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하지
하지 LV.16 작성리뷰 (25)
그냥 진짜 과학소설. 특히 리뉴얼 후에는 이런 류의 소설 중에선 최고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생각.
2024년 10월 26일 4:01 오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근휴
근휴 LV.36 작성리뷰 (126)
개연성 나락. 소재는 나쁘지 않고 그에 대한 고찰도 좋으나 작가가 과도한 찐따인 게 너무 글에서 티가 나고 그걸 세상 경험과 노력으로 매꾸려한 것 조차 보이지 않아서 그리고 초반 이끄는 탄력이 너무 부족해서 하차.
2024년 10월 29일 1:16 오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판타쥐
판타쥐 LV.13 작성리뷰 (15)
sf와 회귀를 잘 표현한 작품
2024년 12월 29일 10:38 오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하이눈레오나
하이눈레오나 LV.28 작성리뷰 (74)
거의노맨스. 회방환을 과학적 관점으로 풀어낸 흥미로운sf소설
2025년 1월 21일 3:34 오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어디서본리뷰
어디서본리뷰 LV.27 작성리뷰 (63)
• 장: 가장 유니크한 SF 판타지.
• 단: 한 번 리메이크를 거쳐서야 완성됨.
2025년 2월 20일 9:59 오후 공감 0 비공감 1 신고 0
숨겨진바지
숨겨진바지 LV.40 작성리뷰 (155)
고구마고구마고구마 감동
2025년 3월 4일 11:50 오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홍길동84
홍길동84 LV.41 작성리뷰 (161)
개꾸르를르ㅡㄹ잼 웹툰보고 입문해서 다 읽고 웹툰도 마저 다 읽었다 둘 다 완독!! 먼치킨 아니지만 루프물을 아주 잘 살렸기 때문에 상관이 없었다... 리제로처럼.
2025년 6월 9일 3:10 오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ShinHyunjuxoo
ShinHyunjuxoo LV.34 작성리뷰 (109)
리메이크 전까진 흔해빠진 용두사미.
리메이크 후에는 용두용미 명작.
2025년 7월 6일 3:31 오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jeongsu yun
jeongsu yun LV.29 작성리뷰 (72)
개인적으론 리메전이 더 좋았다고 생각하는 작품.
잘 쓴 작품은 많지만 날 것의 맛이 있으면서 작가가 드러나는 작품은 적기 때문이다.
리메후 더 완성도 높고 대중적인 작품이 되었지만 나는 리메 전의 막 나가는 철구가 조금 더 좋다.
2025년 7월 28일 8:31 오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링크를 통해 구입 시,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수수료는 소셜넷의 지속 가능한 운영과 발전을 위해 사용됩니다.

링크를 통해 구입 시,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수수료는 소셜넷의 지속 가능한 운영과 발전을 위해 사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