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웅이 시대를 만드는가? 시대가 영웅을 만드는가? *전설로 내려오던 패왕의 별이 떴다. 사상 처음으로 구주팔황의 무림을 일통할 패왕(覇王)이 탄생하리라! 소년이 하늘을 가리키자 노인이 물었다. “허허허. 네 꿈은 하늘이 되고 싶은 것이냐?” “아니, 하늘을 부술 것입니다.” 그가 무림에 출도하고 펼치는 파격적이고 광오한 행보! 내 앞을 막는 것이 있다면 태산이라도 베리라! * 스스로 패왕의 별이 되기를 꿈꾸는 무인들의 야망과 사랑 * “살다 살다 저런 자는 내 평생 처음일세. 대체 그는 누구냐?” “쟁자수(爭子手:짐꾼)인데요.” 하루 먹고 살기도 힘든, 표국의 말단에서 일하는 가난한 청년. 그가 우연히 무림에 얽히면서 천하는 다시 요동친다. 거짓과 위선, 음모와 배신이 판치는 무림을 향한 사나이들의 통쾌하고 거친 반격!결코 후회하지 않을 무협소설의 새로운 이정표.
고전 삼국지의 인문학판타지, 소설 ‘조자룡 하북제패’입니다.고전이 가지는 인문학적 상상력의 가치에 주목한 집필방향을 가지고자할 뿐입니다.그러므로 삼국지 게임과 삼국지 시대로 회귀한 현대인 등을 작품의 소재로 하고 있는 삼국지관련 소설과는 거리가 멀다는 것을 미리 밝혀둡니다.인간, 정치, 그리고 세상에 대한 이야기.다시 태어난 조운(趙雲)과 함께 떠나는 삼국지 여행.정사(正史)와 연의(演義)가 주는 즐거움의 기억.칠실삼허(七實三虛). 회귀(回歸) 판타지와 고전(古典)의 만남.1부 조운, 젊은 날의 회상과 서기226년~229년의 최후- 1부 회상(回想) : 1회 ~ 45회(젊은 날의 회상)- 1부 북벌(北伐) : 46회 ~ 70회(서기226년~229년의 최후)2부 조운, 사후세계를 통한 주체적 삶의 각성- 2부 각성(覺醒) : 71회 ~ 81회(판타지 & 세계관)3부 조운, 다시 주어진 삶, 주체적 삶을 위한 전진- 3부 회귀(回歸) : 82회 ~ 85회- 3부 귀향(歸鄕) : 86회 ~ 170회(고구려·요동 & 세계관)4부 조운, 난세를 맞이하는 하북의 인연- 4부 인연(因緣) : 171회 ~ 250회5부 조운, 난세를 맞이하는 하북의 변화- 5부 변화(變化) : 251회 ~
[1부/2부 합본]<신승> <박빙> <불의왕> <맹주> 작가 정구! 무엇보다 살기 위해 발버둥 치던 1부의 정각이 약간 우유부단했다면,강해지고 싶은 2부의 소천은 맺고 끊는 것이 칼처럼 단호하다. 하지만 한 번 책을 잡으면 손을 뗄 수 없는 강한 흡인력은 갈수록 더해진다.폭발적인 인기를 끌었고, 갈수록 높은 재미를 더해가는 신승!천하를 뒤흔들던 절세신마가 우화등선하고, 신주제일마 정각이 차원 이동을 한 뒤,중원 무림은 두 개의 거대 세력으로 재편된다.그런데 정각이 낙양야색 시절 뿌려둔 씨앗 하나가 눈을 떴다.유례를 찾아보기 힘들 마큼 강력한 두 세력이 무림을 차지하기 위해치열한 암투와 전투를 벌이는 이때 정각의 후예가 무림에 뛰어든다.반쪽뿐인 황금선공과 어설픈 무공 몇 초식만으로 무장한 채.과연 그가 신주제일마의 명예를 이어받을지,낙양야색의 명예를 이어받을지는 아무도 모르는 일이다.
"두 사형제가 난세(亂世)를 헤치며 만들어 나가는 기이막측(奇異莫測)한 강호(江湖) 이야기! 천하가 사패(四覇)의 대립으로 혼란스러운 시기, 세상이 혼탁해지자 강호(江湖)에는 온갖 은원(恩怨)이 넘쳐난다. 그러자 금전을 받고 은원을 해결해주는 돈벌레[黃金蟲]가 나타난다. 그런데… 비천한 황금충(黃金蟲) 무리 가운데 천하팔대고수(天下八大高手)가 나타나니… 천검(天劍) 능운백(陵雲白)! 천하팔대고수이자 강호제일 청부사의 이름이다. 그리고… 그가 두 제자를 들이니, 고검(孤劍)과 추산(秋山)이 그들이었다. 훗날 강호제일의 해결사가 되어 무림을 진동시킬 이들이었다."
무공의 끝을 보고자 했던 인간을 주변은 그냥 두지 않았고, 필연적으로 얽히고설킨 은원의 굴레에서 사상 최악의 악마로 회자되는 묵향, 그러나 그는 ‘위대한 마인’의 길을 걷는 진정한 대인(大人)으로 오롯이 무의 궁극을 추구하는 자이다. 드래곤보다 더 드래곤 같은 인간! 음모에 빠져 무림과 판타지 대륙을 넘나들며 1백 년간의 삶을 살아온 ‘묵향’. 수십 년 만에 무림으로 돌아온 그는 그간의 은원을 정리하고자 나서고, 혼란 가득한 중원을 정리해 나가기 시작한다. 독자들은 이제 서서히 그 대미를 향해 달리는 대작의 풍미를 만끽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