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배, 무서운 이야기 하나 들려 드릴까요?” 벚꽃과 청춘이 어우러져, 흐드러지게 만개하던 그 날의 캠퍼스. 위태로운 젊음의 장막 뒤편, 잔잔하게 연주되는 핏빛 전주곡. “아니, 그런 얘긴 흥미없어. 대신 내가 재밌는걸 보여줄게.” *** 방학을 맞아 강원도 산평의 별장을 찾은 다섯 명의 남녀. 그들의 시선을 따라 물들어 번지는 하나의 사건. 기묘한 색채로 얼룩진 각자의 운명은 차디찬 실타래를 타고 결국, 파국의 종착역을 향해 달려 나가는데.. “아무도 믿을 수 없어. 지금 내 옆에 있는 너 마저도..” 시야를 어지럽히며 피어나는 짙은 안개. 그 너머로 다가오는 불쾌한 진실. “설마.. 니가.. 죽인거야..?”
설레는 마음으로 출발한 뉴욕 출장. 혜림은 먼저 사모님의 심부름을 완수하기 위해 풍년그룹의 하나뿐인 도련님, 민제훈을 찾아갔다. “안녕하세요. 풍년그룹 기획실 손해림이라고 합니다.” 그는 예전에 보았던 순진한 오빠가 아닌, 이제는 카리스마를 가득 풍기는 남자가 되어 있었다. 어색함에 부탁받은 캐리어를 건네고 떠나려는데, 그녀의 귓전에 낮은 음성이 들려왔다. “날 유학 보낸 당사자가 오셨네.” 이게 무슨 뜻이지? 의문을 표해 보지만 돌아온 건 그의 묘한 웃음과 축객뿐, 해림은 찜찜한 마음으로 나올 수밖에 없었다. 그런데 더럽게 운이 없는 날인가. 갑작스러운 사고로 그의 도움 없이는 꼼짝 못 하는 신세가 되어 1주일간 그의 아파트에서 지내게 되는데……. ……정말 이래도 되나?
시한부 환자, 정은재의 삶은 그렇게 끝이었다. 진심으로 삶에 미련이 없었는데. [너에게 주어진 시간은 일 년! 그 안에 ‘진짜 남주’를 찾아!] “자, 잠깐! 잠깐만! 이게 뭐야! 뭐냐고?!” 죽은 줄 알았던 난 낯선 세계에서 다시 눈을 떴다. 놀라울 정도로 건강한 몸을 가진 채. [못 찾으면 일 년 후 죽어! 재밌겠지?] 그 순간, 나는 보고 말았다. 그들 머리 위에 떠 있는 초록색 글자, [호감도 0%]를. [처음 보는 남성의 호감도는 0%로 시작! 물론 예외는 있어!] [호감도 실적이 영 아니다 싶으면 미션이 쏟아질 테니까 각오해!] 와. 이거 진짜구나. “안……녕?” 일단 살고 보자. 너희 중 누가 진짜 남주니.
멜베시우스 가문에 입양돼, ‘블리즈네’의 인생을 대신해 살아가던 샤그리아. 귀족이 된 것도 잠시, 후작인 에티엔으로 인해 가문이 몰락당한다. 운 좋게 살아 에티엔의 하녀가 됐으나, 주인과 사용인들에게 구박당하는 천덕꾸러기 신세. 성에서 이래저래 별꼴을 다 겪은 그녀는 그야말로 ‘미친’ 짓을 하며 ‘맘에 안 들면 죽이시든가’ 하는 배짱으로 불량해진다. 여느 날처럼 에티엔을 골탕 먹이기 위해 똥물을 뒤집어쓴 채 찾아갔던 그녀는 후작 성에 찾아온 손님, 황제의 셋째 아들이자 백작인 루첸티오에게 결례를 무릅쓰고 만다. 그런데……. “저기. 이보세요, 백작님.” “루첸티오라 불러.” “……아뇨. 감히 그럴 순 없죠. 그런데 왜 자꾸 절 따라오세요?” 대체 왜, 황제의 아드님이라는 그 귀하신 분이 그녀를 졸졸 쫓아다니는 것일까.
조선에서 온 시인 이옥봉과 싱어송라이터 에단리의 비밀스러운 작업이 시작된다! “이별 후의 심경을 말하려는 거 맞지요? 제 시가 좀 도움이 될까 해서요.” “이걸 언제 썼어요?” “신후 씨 피아노 치는 모습 보고 썼어요. 연주가 참 아름다우면서도 슬프더군요. 그래서 시로 한번 옮겨봤어요.” “너무 좋네요. 제 곡에 이런 느낌이 필요했거든요.” 운명과도 같은 두 청춘의 사랑과 음악 이야기가 풋풋하게 펼쳐진다. 낯선 현세에서 옥봉은 잘 적응할 수 있을까? 조선에 남겨둔 미스터리를 푸는 열쇠는 누구에게 있을까? 두 청춘의 사랑은 이루어질 수 있을까?